사이언스북스 도서목록 | 보도자료 게시판 프린트 | 읽기도구 닫기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


첨부파일


서지 정보

카피: 과학책 읽기, 이 책으로 시작하라! 가독성과 동시대성을 갖춘 현대 과학의 50가지 이정표

부제: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과학 고전 50

기획 APCTP | 강양구, 김상욱, 손승우, 이강영, 이권우, 이명현, 이정모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행일: 2017년 12월 15일

ISBN: 978-89-8371-890-7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148x220 · 416쪽

가격: 18,500원

분야 과학사·과학철학, 청소년 과학


책소개

과학의 고전에서 모두의 고전으로—남궁원 APCTP 소장

 

“새로운 것을 즐기려는 태도를 조금이라도 갖고 과학책을 대한다면 새롭고 경이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다. 약간의 두려움과 약간의 낯섦을 각오한다면 그 보답은 ‘경이로움’ 그 자체일 것이다. 약속한다.” —이명현

“과학도 회의와 반증의 대상이다. 우상이 되는 순간, 그것은 과학이 아니다. 책을 덮으며 나도 감히 회의주의자라 말하겠다고 결심한 이유다.” —이권우

“우리 인류는 이렇게 스스로를 되돌아보는 능력을 배워 나가고 있다.” —손승우

 

과학책 읽기, 이 책으로 시작하라!

가독성과 동시대성을 갖춘 현대 과학의 50가지 이정표

 

463종, 3,820종. 대한출판문화협회가 발표한, 2016년 상반기 대한민국에서 발간된 순수 과학과 기술 과학 신간의 숫자이다. 2015년 1년간 같은 분야에서 출간된 종수가 665종, 4,508종인 것과 비교해 보면 과학 기술 분야 출판이 무섭게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다. 융합적, 통섭적 교양을 갖춘 과학자 출신 필자들이 속속 출현하고 과학책이 예능 프로그램에 등장하며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기도 하는 등, 언론과 출판계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가 과학책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과학책이 명멸하며 각축전을 벌이는 ‘과학책 시장의 르네상스’에서, 정작 신빙성 있는 과학 고전 목록을 제안하는 길잡이가 부재했던 것도 사실이다. 큰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자에게 가닿지 못하는 과학책이 부지기수였던 것이다. 독자들이 신빙성 있는 과학 고전 목록을 줄기차게 요구해 온 것은 당연했다.

이 같은 독자들의 갈증에 응답하고자 과학인이 의기투합했다. 이번에 (주)사이언스북스에서 발간한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 우리 시대의 새로운 과학 고전 50』은 과학자와 과학 저술가, 과학 기자 들이 직접 엄선한 50권의 과학 고전을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과학책 읽기의 왕도를 가리켜 주는 나침반이다. 세계를 구성하는 기본 원리로서 과학을 이해하기로 마음먹었으나 일견 높아 보이는 진입 장벽 앞에서 막막함을 느꼈을 독자들, 진로 탐색의 과정에서 과학을 염두에 두고 있거나 과학 글쓰기 기술을 연마하려는 청소년 독자들에게 이 책은 든든한 갈피를 잡아 줄 것이다.

이 책은 한국에서 처음 설립된 국제 기구로 이론 물리학 연구를 선도하고 국제 공동 연구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가 기획한 ‘과학 고전 50 선정’ 프로젝트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2015년 APCTP가 발행하고 있는 월간 웹진 《크로스로드》 창간 10주년을 기념해 추진된 이 프로젝트는 과학 기술계에서 35명의 추천 위원을 선발해 현대 한국 사회의 시민들에게 ‘현대의 과학 고전’으로 추천할 만한 과학책 520권을 추천하게 하고, 과학자, 과학 저술가,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6명의 선정 위원들이 6개월에 걸친 심사숙고와 치열한 토론 과정을 통해 이 추천 목록에서 50권의 책을 추려 내 2015년 연말에 목록을 공표함으로써 1차적으로 완성되었다. 대한민국 과학계가 합심해 만든 유일무이하며 한국 출판 역사상 최초의 추천 도서 목록이라 정통성과 권위에 무게가 실릴 수밖에 없다.

2016년 APCTP와 (주)사이언스북스의 공동 기획으로 이 50권의 책을 한 권 한 권 깊이 있게 소개하는 서평이 1주일에 한 편씩 웹진 《크로스로드》 등에 연재되었고, 과학책 르네상스가 한창인 2017년 연말 이 연재를 엮은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가 출간됨으로써 최종 완료되었다.

다양한 활동으로 일반 교양 독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는 김상욱 부산 대학교 물리 교육과 교수가 엮은이를 맡고, 지식 큐레이터로 활동 중인 강양구 코메디닷컴 부사장, 젊은 통계 물리학자로 복잡계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손승우 한양 대학교 응용 물리학과 교수,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으로 입자 물리학의 최첨단 현장을 한국 독자들에게 알려 출판 데뷔작으로 한국 출판 문화상을 거머쥔 이강영 경상 대학교 물리 교육과 교수, 다양한 출판 평론 활동으로 책과 독자, 인문 독자와 과학 독자를 연결하고 있는 출판 평론가 이권우, 외계 지적 생명체 탐사 프로그램인 SETI의 한국 책임자였으며 현재 과학 저술가로 강연자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천문학자 이명현 박사, 서울 시립 과학관 관장으로 과학 저술가로 한국의 과학 문화 사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것으로 평가받는 이정모 관장이라는 일급 과학 저술가 일곱 명이 서평 연재 작업과 이 책 저술 작업에 참여했다. 과학 출판의 ‘어벤저스’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7인 7색의 개성 또렷하고 흥미진진한 글들을 만끽하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진가는 충분하다.

여기에 「특별 좌담: 왜 그 책을 고전이라 불렀을까」를 덧붙였다. 현장 과학자로서, 과학 저술가 및 기자로서 한국 과학 도서, 과학 문화 전반에 대해 느끼는 제반 문제를 논의했던 현장에 독자들을 초대했다. 단지 과학 고전의 결과를 제시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과정을 나누고자 했다.

“과학책 읽고 싶지만 뭘 읽어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책.” —《연합뉴스》

“50권의 과학 고전 소개를 통해, 현대 과학사를 흥미롭게 조망하면서, 과학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개인과 무관하지 않음을 재확인시킨다.” —《경인일보》

 


목차

5 발간사 / 남궁원(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 소장)

7 머리말 /김상욱(부산 대학교 물리 교육과 교수)

 

1부

과학은 재미!

19 원더풀,『원더풀 사이언스 』! / 『원더풀 사이언스 』 / 김상욱

25 모든 사람에게 건넨 ‘무한 우주’로의 초대장 /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 』 / 이명현

35 벼려진 별 먼지, 인간을 짓다 / 『마법의 용광로 』 / 이명현

41 세상의 모든 것을 이루는 이야기 / 『사라진 스푼 』 / 김상욱

47 다윈주의자들의 ‘향연’ / 『다윈의 식탁 』 / 이권우

53 개미에게 배워라 / 『개미 제국의 발견 』 / 이정모

61 처음 그곳에 초파리가 있었다 / 『초파리 』 / 강양구

67 대한민국의 ‘문화’를 연결할 다리 /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 / 손승우

75 대한민국 베스트셀러 과학책의 맏이 /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 』 / 이권우

81 우주의 가속 팽창에 도달하기까지 / 『우주의 끝을 찾아서 』 / 이명현

 

2부

인간을 사유하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

89 우리 마음은 보노보와 침팬지의 전쟁터 / 『내 안의 유인원 』 / 이권우

95 협력의 자서전 / 『초협력자 』 / 손승우

103 협력의 수수께끼를 푸는 열쇠 / 『이타적 인간의 출현 』 / 손승우

111 인간의 마음은 오래된 연장통이다 / 『오래된 연장통 』 / 강양구

117 왜 그 과학자는 물벼락을 맞았나 / 『인간 본성에 대하여 』 / 강양구

123 뇌의 비밀, 달팽이는 안다 / 『기억을 찾아서 』 / 김상욱

129 ‘노무현 혐오’와 ‘박정희 공포’, 닮았다 / 『스피노자의 뇌 』 / 강양구

135 틱타알릭, 태초와 인간을 잇다 / 『내 안의 물고기 』 / 이정모

141 회의주의자 선언 / 『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 / 이권우

 

3부

사회의 과학적 조감도

149 물리학에서 찾는 사회 과학의 미래 / 『사회적 원자 』 / 손승우

155 응답하라, 네트워크! / 『링크 』 / 손승우

163 세상물정의 동기화 / 『동시성의 과학, 싱크 』 / 손승우

171 시대와 과학이 충돌하는 곳 / 『원자 폭탄 만들기 』 / 이강영

179 문제적 인간의 노벨상 수상기 / 『이중나선 』 / 강양구

185 컴퓨터는 인간에게 과연 무엇인가 / 『해커스 』 / 이강영

193 스물여섯 구달이 침팬지를 만났을 때 / 『인간의 그늘에서 』 / 강양구

199 몽상의 과학자 / 『몽상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 20세기를 말하다 』 / 이강영

207 지구의 신음을 들어라 / 『침묵의 봄 』 / 이권우

 

4부

고전의 어깨 위에 올라 과학을 보다

215 진화는 진보 아니다?! / 『풀하우스 』 / 이정모

221 도킨스 사상의 거대한 저수지 / 『눈먼 시계공 』 / 이권우

227 20세기 물리학의 세 번째 대혁명 / 『카오스 』 / 손승우

235 생명 현상에 깃든 보편성의 비밀 / 『생명의 도약 』 / 김상욱

241 진화가 낳은 무수한 가능성 / 『생명 최초의 30억 년 』 / 이정모

247 교양 과학책의 새로운 지평 / 『물리학 클래식 』 / 이명현

255 통계 역학, 우주를 이해하는 완전히 새로운 방법 / 『볼츠만의 원자 』 / 김상욱

261 양자 역학 창시자의 회상 / 『부분과 전체 』 / 이강영

269 세상에서 가장 괴이한 이론의 탄생 비화 / 『양자 혁명 』 / 김상욱

275 빅뱅 우주론,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 『빅뱅 』 / 이명현

281 다윈이 대화를 나눌 우리 시대 단 하나의 과학자 / 『이보디보 』 / 이정모

 

5부

과학의 길, 책의 길

289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연애 편지 / 『코스모스 』 / 이명현

303 왜 시간은 과거에서 미래로만 흐르는가 / 『시간의 역사 』 / 김상욱

309 역사적이자 동시대적인 단 하나의 책 / 『종의 기원 』 / 이정모

315 현대 수학은 어디로 가는가 / 『수학의 확실성 』 / 이강영

323 젊은 학문, 화학 / 『화학의 시대 』 / 이정모

331 우리는 묻는다, 우주에 우리만 있냐고 / 『우주 생명 오디세이 』 / 이명현

339 더 많이 알수록 더 흥미로워질 최고의 과학책 / 『블랙홀과 시간여행 』 / 이강영

347 이론과 도구, 과학의 향방을 묻다 /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 / 강양구

353 우주에서 가장 근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 『우주의 구조 』 / 김상욱

359 지혜의 책, 논쟁의 책, 그리고 실용서 / 『최종 이론의 꿈 』 / 이강영

367 ‘노벨상 메이커’ 이휘소를 바로 보다 / 『이휘소 평전 』 / 이권우

373 특별 좌담 왜 그 책을 고전이라 불렀을까 / 강양구, 김상욱, 손승우, 이명현


편집자 리뷰

과학책 읽기의 왕도를 가리키다

과학인이 엄선한 50권의 과학책과 독서 길잡이

 

“과학의 패러다임이 전복된 순간들이 있다. 여기에 소개되는 책들은 그 순간을 목격하고 증언한 책들이다.” —이정모

“당장의 필요는 아닐지라도, 눈에 보이는 이득은 아닐지라도, 고전 작품에서 얻은 앎은 우리 안에서 씨앗을 틔우고 뿌리를 내려서 자라날 것이라고 믿는다.” —이강영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는 크게 5부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1부 「과학은 재미!」는 간명하고도 간과되기 쉬운 사실을 유감없이 보여 주는 책들을 한데 모았다. 바로 과학자들이 과학 연구를 하는 원동력이 호기심이듯이, 독자들이 과학책을 읽는 원동력 또한 재미라는 사실이다. 『원더풀 사이언스』와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을 필두로 한 10권의 책은 이를 예증하는 더할 나위 없는 책들이다. 문학 작품을 방불케 하는 필력을 드러내고, 때로는 익살을 내비치기도 하는 서평들은 이곳에 소개된 책들을 빼닮았다. 과학책에 입문하려는 초심자의 눈길을 사로잡기에 손색이 없다.

한편 2부 「인간을 사유하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에서는 인류가 오랫동안 인문학의 관점에서 탐구해 온 주제, 인간 자신을 논의하는 과학책을 만난다. 『내 안의 유인원』과 『오래된 연장통』을 비롯한 9권의 책은 인문학과는 다른 과학적 방법론을 취해서 협력과 이타성, 이기심과 인간 본성이라는 영역을 파헤치고 있다. “인간 본성은 답이기도 하다.”라는 스티븐 핑커의 말마따나, 인간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공론장을 형성함으로써 더 나은 삶의 양식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과학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들을 만하다.

3부 「사회의 과학적 조감도」는 논의의 저변을 인간에서 사회로 확장했다. ‘사회적 원자’인 개인이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구성하는 사회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거나, 또는 사회와 상호 작용하는 과학의 이야기를 담은 9권의 책들이 이곳에서 소개된다. 『사회적 원자』와 『링크』 등이 전자에 속한다면, 『해커스』나 『몽상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 20세기를 말하다』 등은 후자에 속한다. 현대 과학은 인류에게 풍요를 가져다주었지만, 환경 오염같이 그에 못지않은 숙제를 안겨 주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인간이 이 숙제를 풀어 가는 것 또한 과학과 함께할 것이다. 과학이 우리의 삶과 동떨어진 지식인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사회 속에 깊숙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일깨워 주는 부이다.

 

당신의 서재에 과학을 더하는 가장 고전적인 책

 

“아니, 과학자가 일반인을 위해 쓴 최고 수준의 책을 아직도 안 읽었단 말이에요?” —강양구

“우리는 왜 과학을 알아야 하는가? 저자의 답은 간단하다. 그냥 재미있으니까.” —김상욱

 

4부 「고전의 어깨 위에 올라 과학을 보다」는 과학이 인간의 세계관을 뒤흔든 ‘조용한 혁명의 순간’에 주목한다. 이를테면 『눈먼 시계공』은 진화론과 창조론 사이에 치열하게 벌어진 논쟁에서 진화론의 파수꾼을 자처해 온 리처드 도킨스의 사상을 집대성했다. 한편 『양자 역학』은 “세상은 실재적이지 않으며 양자 역학이 옳다.”라고 선언하며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에 충격을 가져온 양자 역학의 역사를, 『부분과 전체』는 20세기 양자 역학을 태동시켰던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는 자연스레 과학에 발을 디디고 서서 사유를 키워 나간다. 독자들은 과학이 이미 우리의 사유를 이루어 왔다는 이 사실을 이곳에서 눈치 채게 된다.

5부 「과학의 길, 책의 길」은 과학과 책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과학은 여태껏 해 왔듯이 미지의 영역을 앎의 영역으로 변화시키며 앞으로 나아갈 것이다. 그 행보에 과학책이 함께할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코스모스』와 『시간의 역사』를 통해 알고 있다. 『우주 생명 오디세이』는 아직 연구 대상 자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역설적으로 무수한 가능성을 품고 있는 우주 생물학을 소개한다. 한편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은 대형 강입자 충돌기라는 도구가 어떻게 이론과 상호 작용하며 과학의 발전을 견인했으며 어떤 연구를 앞두고 있는지를 소개한다.

가독성과 동시대성, 이 두 가지는 ‘우리 시대의 과학 고전을 표방하는 목록에는 어떤 기준이 적용되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과학인들이 이 책을 통해 내놓은 해답이다. 과학의 대중화에 관해 국내 사정을 누구보다 잘 아는 국내 과학자들의 책을 20퍼센트가량 배치한 것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해된다. 더구나 현장에서 대중과 소통하는 과학자와 과학 저술가, 과학 기자 들이 꼽은 목록인 만큼 이 목록이 갖는 신빙성은 확고하다.

한편 이 책은 각종 영상·음성 매체를 통해 과학 지식이 전파되는 오늘날 과학책이 우리 사회에서 갖는 의미를 되짚어 보게 한다. 활자를 통해서만이 독자에게 가닿을 수 있는 과학의 경이로움을 전하고, 또한 독자와 독자 사이에 공론장을 형성하는 가교 역할을 그간 과학책이 해 왔다면, 이 책에서 강조하는 가독성과 동시대성은 과학책의 본령에 이르는 가장 정확한 디딤돌이라 할 만하다. 그렇다면 이 책은 대한민국 과학계가 그간 과학의 대중화에 헌신한 저자들에게 보내는 찬사이자, 과학을 사랑하고 책의 가치를 믿는 모든 이들에게 바치는 헌사인 셈이다.


작가 소개

--

APCTP 기획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sia Pacific Center for Theoretical Physics, APCTP)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는 첨단 연구 수행, 이론 물리학 분야 젊은 과학자 연수, 아시아 태평양 지역 회원국과 그 외 지역 물리학자들의 국제 협력 증진을 목표로 1996년 6월 한국에 설립되었다. 국제적인 비정부 기구로서 현재 회원국은 호주, 중국,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대만, 태국, 베트남, 라오스, 인도, 몽골이다.

http://www.apctp.org


웹진 크로스로드(Crossroad)

‘과학과 미래 그리고 인류’를 목표로 한 《크로스로드》는 과학 특집, 과학 에세이, 과학 유머, 과학 소설, 과학 만화 등 다양한 장르의 과학 글을 통해 미래의 과학적 비전을 보여 주고자 APCTP가 창간한 과학 웹 저널이다. 한국어 판과 영어 판을 동시에 제공하는 《크로스로드》는 과학자와 일반인들이 서로 논쟁하고 토론하고 즐길 수 있는 웹 저널로, 다양한 ‘가능성’이 교차되며 그 가능성을 더욱 넓히는 《크로스로드》의 의미만큼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과학 대중화를 지향한다. 이 책에 수록된 30편의 에세이들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Essay’에 실린 글 가운데 모은 것이다.

http://crossroads.apctp.org


"APCTP"의 다른 책들

--

강양구

서울시 미디어 재단 TBS 과학 전문 기자이자 지식 큐레이터. 연세 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 참여연대 과학 기술 민주화를 위한 모임(시민 과학 센터) 결성에 참여했다. 《프레시안》에서 과학·환경 담당 기자로 일했고, 대한 적십자사 혈액 비리, 황우석 사태, 메르스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등에 대한 기사를 썼다. 특히 황우석 사태 보도로 앰네스티 언론상, 녹색 언론인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과학의 품격』, 『강양구의 강한 과학』, 『세 바퀴로 가는 과학 자전거』,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 『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 『과학 수다』(공저), 『밥상 혁명』(공저), 『침묵과 열광』(공저), 『정치의 몰락』(공저),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공저),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공저) 등이 있다.

"강양구"의 다른 책들

--

김상욱

경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KAIST에서 물리학으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포항 공과 대학교, KAIST,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연구원, 서울 대학교 BK 조교수, 부산 대학교 물리 교육과 교수를 거쳤다. 도쿄 대학교, 인스부르크 대학교 방문 교수와 아시아 태평양 이론 물리 센터(APCTP)의 과학 문 화 위원장을 역임했다. 주로 양자 과학, 정보 물리를 연구하며 60여 편의 논문을 SCI 저널에 게재했다. 특히 양자 정보, 양자 열역학, 양자 혼돈 이론 분 야에서 탁월한 연구 업적을 냈다. 『김상욱의 양자 공부』, 『떨림과 울림』, 『김상욱의 과학공부』를 저술하고, 『과학 수다』, 『과학은 논쟁이다』, 『과학하고 앉 아있네』 등 다수의 과학 도서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김상욱"의 다른 책들

--

손승우

한양 대학교 응용 물리학과 교수. 포항 공과 대학교(POSTECH)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물리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 과정을 마치고, 현재는 한양 대학교 에리카 캠퍼스 응용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6년 한국 물리학회에서 통계 물리 학 발전에 이바지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용봉상을 수상했다. 집단 거동, 동기화와 관련된 복잡계를 연구하고,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도시 내 인구 및 시설 분포, 전력망 안정성 등을 연구한다. APCTP 과학 문화 위원장, 한국 물리학회 대중화 위원, 한국 복잡계 학회 운영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손승우"의 다른 책들

--

이강영

서울 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 물리학 이론을 전공해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물질의 근본 구조를 어떻게 이해하고 또한 이것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가지고 힉스 입자, 여분 차원, 중성미자, 암흑 물질 등에 관련된 현상을 연구해 오고 있으며, 대칭성의 양자 역학적 근본 구조 및 확장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Direct search for heavy gauge bosons at the LHC in the nonuniversal SU(2) model” (2014) 등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 『보이지 않는 세계』, 『파이온에서 힉스 입자까지』 등을 썼으며, 『이것이 힉스다』를 옮겼다. 현재 경상 대학교 물리 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강영"의 다른 책들

--

이권우

경희 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책과 관련한 일을 하다 서평 전문 잡지 《출판저널》 편집장을 끝으로 직장 생활을 정리했다. 도서 평론가로 활동하며 책을 소개하는 글을 쓰거나 글쓰기 강연을 업으로 삼고 있다. 『책읽기부터 시작하는 글쓰기 수업』,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고전 한 책 깊이 읽기』, 『죽도록 책만 읽는』, 『책, 휘어진 그래서 지키는』, 『여행자의 서재』 등을 저술했다.

"이권우"의 다른 책들

--

이명현

천문학자, 과학책방 갈다 대표.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 천문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네덜란드 캅테인 연구소 연구원, 한국 천문 연구원 연구원, 연세 대학교 천문대 책임 연구원을 지냈다. ‘2009 세계 천문의 해’ 한국 조직 위원회 문화 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했고 한국형 외계 지적 생명체 탐색(SETI KOREA)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했다. 서울 삼청동에 ‘과학책방 갈다’를 열어 작가와 과학자, 그리고 독자들을 잇는 문화 행사 공간으로 만들었다. 『이명현의 과학 책방』, 『이명현의 별 헤는 밤』, 『빅히스토리 1: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지구인의 우주공부』 등을 저술하고, 『침묵하는 우주』를 번역했다. 이 외에도 『과학은 논쟁이다』, 『과학하고 앉아있네 2: 이명현의 외계인과 UFO』 등 다수의 공저가 있다.

"이명현"의 다른 책들

--

이정모

펭귄 각종 과학관장.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장, 서울 시립 과학관장, 국립 과천 과학관장을 거쳐 현재는 대중의 과학화를 위한 저술과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연세 대학교 생화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2019년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로 과학 기술 훈장 진보장을 받았다. 『과학관으로 온 엉뚱한 질문들』, 『과학이 가르쳐준 것들』,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공생 멸종 진화』 등을 썼고 『마법의 용광로』, 『인간 이력서』, 『매드 사이언스북』 등 독일어와 영어로 된 책을 우리말로 옮겼다.

"이정모"의 다른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