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북스 도서목록 | 보도자료 게시판 프린트 | 읽기도구 닫기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


첨부파일


서지 정보

카피: 석유 시대의 황혼원자력 만능주의를 향한 경고휴가 가는 대통령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프레시안》‘석유 제로 시대’ 대비 대체 에너지 개발에 ‘올인’하라. ―《세계일보》

부제: 원자력과 석유 없는 세상을 준비하는 에너지 프로젝트

강양구

출판사: 사이언스북스

발행일: 2011년 5월 31일

ISBN: 978-89-8371-279-0

패키지: 반양장 · 변형판 148x220 · 320쪽

가격: 16,500원

분야 과학사·과학철학

수상/추천: 환경부 우수환경도서


책소개

위험한 에너지, 미래의 에너지
지속 가능성을 찾아라

지난 3월 11일 일본 동북부 대지진으로 인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난 지 100시간도 채 되지 않아 냉각 장치 이상으로 2호기와 3호기의 원자로 노심부가 녹는 멜트다운 현상이 일어났음에도 도쿄 전력 측에서 이를 2개월 이상 공개하지 않아 다시 한 번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후쿠시마 사고를 계기로 자연 재해나 테러 상황 통제가 얼마나 어려운지, 원자력 발전의 안정성에 대한 위협 요소들이 거듭 강조되어 왔다.
이번에 (주)사이언스북스에서는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의 과학․환경 담당 강양구 기자가 2007년에 쓴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를 다시 펴냈다. 이 책은 우리가 원자력으로 움직이는 로봇 ‘아톰’이 상징하던 원자력 만능주의의 시대에서, 바다에 대륙이 잠기고 난 뒤 태양 에너지의 비밀을 간직한 코난의 친구들이 살아가는 애니메이션 「미래 소년 코난」의 시대로 가는 중이라고 말하고 있다.
저자가 직접 발로 뛰며 대관령과 부안, 광주, 포천, 독일 프라이부르크와 보봉, 윤데, 오스트리아 그라츠 등 국내외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을 취재하는 과정이 고스란히 담긴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 원자력과 석유 없는 세상을 준비하는 에너지 프로젝트』에는 저자가 2010년 《녹색평론》에 게재했던 글 「원자력을 둘러싼 7가지 신화」가 덧붙어 있다.

현대 과학 기술 시대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폭력의 익명성이다. 원자력 에너지가 그 대표적인 예다. 전기 없이는 한 순간도 편안하게 보낼 수 없는 대다수 도시 사람은 자신도 모르게 원자력 발전소 인근에 거주하는 시골 사람, 방사성 쓰레기로 고통 받을 다음 세대에게 폭력을 가하는 중이다. 그들은 그렇게 일상생활에서 폭력을 가하면서도 정작 자신이 무슨 짓을 하는지 알지 못한다. 원자력 옹호자와 같은 권력 유지에 과학 기술을 동원하는 이들은 바로 이 점을 간파하고 그들이 진실을 알지 못하도록 끊임없이 환상을 부추긴다.―본문에서

 

“저자는 핵에너지의 총아였던 ‘아톰’과 하이하바의 자연 에너지를 찾아가는 ‘코난’을 대비하며, 여기 한국에서의 대안을 함께 이야기하고자 했다. 이 전달 전략은 제법 효과적이었고, 한 공중파 채널이 다큐멘터리 제목을 <코난의 시대>라는 제목으로 차용하기도 했다.” —《프레시안》


목차

들어가며 -세상이 변했다! 5
머리말 -이제 3년밖에 남지 않았다 11

1 임박한 파국 23
고유가 사태는 ‘쭉’ 계속된다 26
사우디아라비아발 석유 파동? 27
임박한 파국, 석유 생산 정점 29
깊이 읽기 -결국은 카산드라가 맞았다! 32
생각하기 -왜 이렇게 호들갑일까? 42
읽을거리 44

2 세상이 변했다 47
할리우드 재난 영화 뺨치는 보고서 50
불편한 진실, 누가 외면하나 54
계속되는 사기극 57
깊이 읽기 -회의주의자의 주장을 검증하는 네 가지 방법 59
생각하기 -불확실한 증거 64
읽을거리 67

3 난방이 필요 없는 집 69
난방이 필요 없는 집, 패시브 하우스 72
냉방도 필요 없다 74
꼭 필요한 난방은 태양 에너지 75
빗물 한 방울도 허투루 버리지 않는다! 78
깊이 읽기 -20년 만에 부활한 목소리, “아끼고 또 아껴라” 80
생각하기 -과학 기술만으로는 곤란하다 90
읽을거리 92

4 똥이 에너지다 95
가축의 똥오줌으로 전기 생산 99
풍력·태양 에너지로는 역부족이다 101
바이오매스, 또 다른 환경 오염? 103
깊이 읽기 -똥 귀한 줄 모르는 한국 105
생각하기 -수소 경제, 과연 올 것인가? 114
읽을거리 117

5 100년 만에 부활한 식물 연료 119
고소한 냄새 풍기는 버스 122
폐식용유 수거해 버스 연료 생산 123
지구 온난화 막는 식물 연료 125
20킬로미터마다 식물 연료 주유 가능 126
오히려 거꾸로 가는 한국 127
깊이 읽기 -유채 키워 1조 이익?, 산유국 꿈꾸는 부안 129
생각하기 -식물 연료의 ‘명’과 ‘암’ 139
읽을거리 148

6 전기료 월 200원, 나머지는 해님이 낸다 151
1년 만에 전기 요금 3만 원에서 200원으로 줄다 154
태양 에너지 이용 여건, 독일보다 낫다 155
청소년을 태양 에너지 지지자로 만들자 158
태양 에너지 육성, 갈 길 멀었다 161
깊이 읽기 -걱정 마, 우리에겐 원자력이 있잖아! 165
생각하기 -진짜 돈 버는 방법은 따로 있다! 173
읽을거리 176

7 풍차는 돌고 싶다 177
“풍차가 돌지, 왜 안 돌아?” 179
대관령 풍력발전단지, 연 270억 매출 182
풍력 발전, 외국 자본에 넘어가다 185
볼트·너트까지 수입, 국산화 시급하다 186
돌지 않는 풍차, 누가 만드나 186
국산은 설 땅이 없다 187
깊이 읽기 -풍력 에너지의 무한한 미래 189
생각하기 -환경 단체 vs 환경 단체 195
읽을거리 199

8 윤데의 기적 203
소비 전기보다 생산 전기가 많다 198
난방은 물론 지역 농가 소득도 생겨 206
‘윤데 스토리’, 중심에 선 주민 208
800년 역사의 윤데, 기적을 이루다 210
시민 참여로 마을을 바꾼 프라이부르크 보봉 211
깊이 읽기 1 -우파 정부가 앗아간 태양 도시의 꿈 215
깊이 읽기 2 -언론의 헛발질: 가스하이드레이트, 과연 ‘미래 에너지’인가? 223
생각하기 -에너지 정책, 왜 시민은 입 꾹 닫아야 하나? 228
읽을거리 231

9 태양과 바람의 한반도를 꿈꾸자 233
북한,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나? 236
대안 아닌 대안들 238
바람과 태양이 북한을 살린다 241
깊이 읽기 -기름 값 올라서 속상한 당신이 알아야 할 진실 244
생각하기 -인권, 환경, 지역 사회를 생각하는 에너지 정책? 255
읽을거리 256

10 연료를 바꾼다 259
나는 일본, 기는 한국 262
첫째, 에너지를 절약하라 263
둘째, ‘오래된 자원’의 부활 264
셋째, 미래를 그리는 생태 마을 265
미래는 없다 267
다른 길을 닦자 270
깊이 읽기 -한국 대안 에너지의 미래? 271
생각하기 -‘지역 에너지’는 ‘착한 에너지’ 284
읽을거리 289

나가며 -‘코난의 시대’를 상상하자 291
함께 읽기 -원자력을 둘러싼 7가지 신화 294


편집자 리뷰

석유 시대의 황혼
원자력 만능주의를 향한 경고

미래의 희망처럼 묘사되곤 하는 원자력의 실체를 정면으로 들여다보는 것이야말로 원자력 없는 세상에 제대로 다가서기 위한 한 단계일 수 있다. 우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막는 데 원자력 에너지가 답이라는 주장은 허구다.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역시 온실 기체를 방출하며 20년간 1주일에 원전 1개씩을 짓는 속도가 아니고서는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신할 수도 없는 것이다. 또한 머릿속으로는 원전 건설을 찬성하더라도 막상 부지 선정 단계에서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방사성 폐기물 처리도 완전히 보장할 수 없다. 더군다나 우라늄 역시 다른 화석연료의 경우처럼 유한하기는 마찬가지며 심지어 사용 후 핵연료의 플루토늄을 재사용하면 된다는 안은 원자폭탄 제조 가능성과 밀접해 실효성이 없다.
스리마일이나 체르노빌의 악몽에 더해 원자력의 위험성은 다시 한 번 대두되고 있다. 원자력은 또한 사회에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과학 기술로서의 위치를 차지한 듯 보이지만 점차 탈원전을 외치는 목소리가 사회 각지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원자력이 제공하는 풍요로움만을 부각시키며 환상을 심어 주는 현실을 직시할 때가 되었다.
원자력과 더불어 석유 역시 마냥 손쉬운 에너지가 아니라는 위기의식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미 30년 이상 풍력과 태양열 발전, 바이오디젤 등으로 에너지 전환에 힘을 기울여 온 독일이나 덴마크의 사례가 에너지의 미래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석유 생산 정점(Peak Oil)’, 즉 석유 생산량이 정점에 도달하고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이 이미 도달했으리라는 전망마저 나오는 이 때, 안일한 낙관주의나 화석 연료를 둘러싼 자원 전쟁은 미래를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세계는 원자력의 신화를 고집할 것인가, 혹은 원자력과 석유 없는 세상을 선택하고 함께 만들어 갈 것인가?

 

지속 가능한 코난의 시대를 향하여
태양과 바람의 한반도

“미국은 석유에 중독되어 있다.”2006년 1월 31일, 부시 대통령은 연두교서 발표를 통해 석유 고갈 가능성을 암시하는 한편 그 대비 방안을 강구할 것을 약속했다. 그라츠 대학교의 미텔바흐 교수가 이야기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조용하지만 중요한 변화”가 단적으로 드러난 예다.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는 폐식용유로 만든 바이오디젤 버스 두 대가 1994년 처음 운행을 시작한 이래 10년 만에 152대 버스가 전부 바이오디젤로 움직이고 있다. 치솟는 유가와 더불어 이미 세계 곳곳에서 감지된 석유 생산 정점 위기에 대한 훌륭한 대안이 바로 바이오디젤인 것이다.
독일 하노버 남동부, 인구 1만 5000명의 크론스베르크는‘인간, 자연, 기술’이 어우러지는 생태 마을이다. 주민과 건축가, 환경 단체가 하노버 시와 4년 동안 협의를 거쳐 이루어낸 이 생태 마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패시브 하우스’는 태양 에너지만으로 난방을 하도록 설계된 생태 건축으로 독일과 스위스를 중심으로 확산 중이다.
아우디 생산 공장이 위치한 독일 남서부의 네카스울름에서는 열병합 발전소에서 자투리 나무와 폐목을 연료로 사용한다. 독일의 ‘환경 수도’ 프라이부르크 인근의 보봉 마을이나 괴팅겐 근처 윤데에서는 전기를 생산하는 데 가축의 똥오줌과 보리 건초를 섞어 메탄을 태운다. 국내에서도 가축 똥오줌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해 나오는 메탄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은 경기도 포천과 경기도 이천, 충청남도 청양 등지에서 시도되고 있다.
건초와 나무를 태울 때는 어차피 썩을 때 발생하는 만큼의 이산화탄소만이 발생하고, 탄소 화석 연료를 태울 때와 달리 온실 기체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온실 기체 감축이 가능하다. 또한 바이오매스는 풍력, 태양 에너지에 비해 저장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부안 사태’가 일어났던 전라북도 부안에서는 바이오디젤 연료가 되는 유채가 자라고 있다. 물론 바이오디젤 상용화 과정에서 유채 재배 면적이 부족하다거나 폐식용유 수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등의 한계도 있다. 더 큰 문제는 식물 연료가 식량 가격을 올리고 열대우림을 파괴한다는 반대의 목소리가 전 세계적으로 심심치 않게 나온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국내에서 태양 에너지 이용과 관련해 단연 돋보이는 곳은 ‘빛고을’ 광주다. 다음 세대를 위한 에너지 교육에 힘쓰는 한편 태양광 발전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개선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국산화 문제가 걸려 있는 또 하나의 분야는 바로 풍력 발전이다. 대관령에서 돌아가는 49기의 풍력 발전기를 비롯, 우리의 풍력발전단지가 본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북한까지 염두에 둔 재생 가능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 중인 재생 가능 에너지 시장에서 자발적이고 지속 가능한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이 책은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는 대신 대안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일종의 ‘개종’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 《시사인》
휴가 가는 대통령에게 이 책을 권합니다. ―《프레시안》
‘석유 제로 시대’ 대비 대체 에너지 개발에 ‘올인’하라. ―《세계일보》
저자는 유가에 따라 대책이 있느니 없느니 싸우지 말고 다음과 같이 가정하라고 한다. ‘석유가 없다.’ 이미 유럽은 이렇게 가정하고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한겨레 21》
한 달 전기 요금이 200원인 마을 있다? ―《파이미디어》
미래의 에너지를 찾는 데 시간이 걸린다면, 애니메이션 코난의 주인공처럼 문명의 이기 없이 살아야 하는 것일까. 책은 기름을 펑펑 쓰는 우리들에게 그 질문을 던진다. ―《머니투데이》


작가 소개

--

강양구

서울시 미디어 재단 TBS 과학 전문 기자이자 지식 큐레이터. 연세 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 참여연대 과학 기술 민주화를 위한 모임(시민 과학 센터) 결성에 참여했다. 《프레시안》에서 과학·환경 담당 기자로 일했고, 대한 적십자사 혈액 비리, 황우석 사태, 메르스 사태, 코로나19 팬데믹 등에 대한 기사를 썼다. 특히 황우석 사태 보도로 앰네스티 언론상, 녹색 언론인상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는 『과학의 품격』, 『강양구의 강한 과학』, 『세 바퀴로 가는 과학 자전거』, 『아톰의 시대에서 코난의 시대로』, 『수상한 질문, 위험한 생각들』, 『과학 수다』(공저), 『밥상 혁명』(공저), 『침묵과 열광』(공저), 『정치의 몰락』(공저), 『과학은 그 책을 고전이라 한다』(공저), 『과학자를 울린 과학책』(공저) 등이 있다.

"강양구"의 다른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