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장 속에 과학이 있었다!
한국인의 전통 의식주 속에 오롯이 녹아 있던 지혜를 읽어 낸다
수년 전 “우리 것은 좋은 것이다.” 하는 광고 카피가 인구에 회자된 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 것이 왜 좋은지’, ‘어떻게 좋은지’, 그리고 ‘무엇이 우리 것인지’ 물었을 때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급격한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전통 문화와 단절된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더 이상 마을을 단위로 사회를 구성하지 않으며, 흙으로 지어진 집 속에 살지 않으며, 자연 속에서 얻을 수 있는 실과 재료로 만들어진 옷과 먹을거리로 살아가지 않는다. 서울 강남 사는 아이들이 시골 마을에 가면 이국적이라는 느낌을 받는다지 않는가.
그러나 그와 동시에 전통 문화와 전통적인 삶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한옥이 밀집되어 있는 서울 북촌을 중심으로 현대적 한옥을 새로 짓거나 기존의 한옥을 개량하는 사업이 붐을 일으키고 있고, 아토피와 불량 식품에 불안해 하는 부모들이 전통적인 소재나 천연 재료로 만들어지는 옷과 먹을거리를 찾아 아이들에게 주고 있다.
‘근대화’, ‘잘살아 보세’ 같은 구호 아래 눌려 비과학적, 비위생적, 비현대적인 것으로 백안시당했던 전통 문화 속에서 과학적, 위생적, 도시 문화의 그 어떤 것보다도 현대적인 지혜로 가득한 ‘전통 문화의 지혜’를 발견하려고 하는 시도는 서구 문화와 과학의 본격 수입이 100여 년이 된 현재 시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에 (주)사이언스북스에서 펴낸 이재열 경북 대학교 교수의
책머리에.담장 속의 과학을 찾아서 … 5
1부 마음속에 품은 집
옛마을 찾아가는 길 … 20
고샅길을 걸으며 … 32
나무를 심는 마음 … 42
집이 살아 숨쉰다 … 50
생각만 해도 좋은 집 … 60
나무와 흙과 짚의 어우러짐 … 69
사랑스러운 사랑채 … 78
난방과 취사가 만나는 온돌 … 88
부엌에는 신(神)이 사신다 … 97
마당의 원리 … 105
안주인의 그림자 … 119
화장실에서 보는 세상 … 124
정신 건강에 맞는 집을 찾아서 … 134
2부 우리 몸을 채우는 먹을거리
김치를 맛보며 미생물의 힘을 느끼다 … 148
미생물과의 끝없는 전쟁 … 153
우리 음식의 농익은 맛과 간 … 160
김치의 재발견 … 168
음식의 갈무리 … 177
3부 우리 몸을 감싸안는 옷
빨래에 대한 짧은 고찰 … 192
색깔 있는 옷 … 201
속옷은 기능성이다 … 210
자연으로부터 얻은 옷감 … 217
책을 마치며 … 227
더 읽을거리 … 235
찾아보기 … 238